경상남도가 전국 최초로 ‘도 단위 연금제도’인 경남도민연금을 2026년 1월부터 시행합니다. 만 40~54세 도민이 월 8만 원씩 10년간 납입하면, 도의 지원금과 복리이자를 포함해 60세부터 월 약 21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로, 국민연금 사각지대를 보완해 노후 소득 안정에 도움을 줍니다.

전국 최초 ‘경남도민연금’ 내년 1월부터 시행
퇴직 후 국민연금 수령 전까지의 소득 공백기를 메워줄 새로운 제도가 등장했습니다.
경상남도가 전국 최초로 **도 단위 연금 제도 ‘경남도민연금’**을 2026년 1월부터 본격 시행합니다.
✅ 경남도민연금이란?
‘경남도민연금’은 은퇴 전후 소득 단절로 어려움을 겪는 40~50대 경남도민을 위한 지역형 연금입니다.
국민연금 사각지대 보완과 노후 생활안정 지원을 목표로 만들어졌죠.
- 가입 대상: 만 40~54세 경남도민
- 소득 기준: 연 9,352만 원 이하
- 시행 시기: 2026년 1월
- 운영 주체: 경상남도
💰 납입 및 수령 구조
경남도민연금은 개인 납입금 + 경남도 지원금 + 복리이자로 구성됩니다.
구분 내용
| 개인 납입 | 월 8만 원씩 10년간 (총 960만 원) |
| 경남도 지원 | 연 최대 24만 원 (10년간 최대 240만 원) |
| 복리 이자 | 연 2% 적용 |
| 수령 시기 | 만 60세 이후 5년간 분할 수령 |
| 예상 수령액 | 월 약 21만7천 원 수준 |
즉, 10년간 꾸준히 납입하면 총 약 1,302만 원의 적립금을 60세부터 매달 받게 됩니다.
세액공제 혜택까지 포함하면 실질 수익률은 더 높아집니다.
🧾 주의할 점
- 도내 주민등록 유지자만 지원금 지급
- 일시금 지급 제한: 중도 해지나 환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요건(10년 납입 또는 60세 도달 등)을 충족해야 수령 가능
- 도민연금기금 운영: 경남도는 안정적인 제도 운영을 위해 전용 기금을 조성할 계획
🎯 경남도의 목표
경상남도는 제도 시행 첫해부터 매년 1만 명 신규 가입자를 모집해
10년 뒤 누적 10만 명 규모의 가입자 기반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와 조례 제정까지 마무리하며
제도의 지속성·재정 건전성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 왜 주목받을까?
‘경남도민연금’은 단순한 지역 정책을 넘어
공적연금과 민간연금의 중간지대를 메우는 새로운 시도입니다.
- 중장년층의 은퇴 전후 소득 단절 완화
- 경남 지역 내 인구 정착 유도 효과
- 저소득·정보취약층의 사회안전망 강화
이 세 가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 결론: 나에게 맞는 연금인지 확인하자
노후 준비의 첫걸음은 지속 가능한 제도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경남도민연금’은 적은 금액으로 꾸준히 납입해 안정적인 노후 소득원을 만들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6년 1월 시행 전, 가입 자격과 혜택 요건을 미리 확인해두세요.
앞으로 다른 지방자치단체로도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연금 모델로 주목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