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농어촌 살면 ‘매달 15만원’?…지방재정이 버틸 수 있을까

by 부자아빠21C 2025. 9. 18.
반응형

정부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을 추진합니다. 인구감소가 심각한 6개 군을 선정해 2026~2027년 2년간 모든 주민에게 **월 15만원(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하는 내용입니다. 그러나 군청이 30%의 예산을 분담해야 하는 구조가 지방재정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본문에서 대상, 신청 일정, 기대 효과, 재정 문제를 자세히 살펴봅니다.

포토뉴스 캡쳐


1.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개요

  • 대상 지역: 인구감소가 심각한 69개 군 중 공모로 6곳 선정
  • 사업 기간: 2026년~2027년(2년)
  • 지급 금액: 1인당 매월 15만원
  • 지급 방식: 현금이 아닌 지역사랑상품권
  • 사업비 규모: 약 8500억원 (국비 40%, 시·도비 30%, 군비 30%)
  • 신청 접수: 2025년 9월 29일~10월 13일 (농식품부 공모)
  • 수혜 예상 인원: 약 23만명

2. 사업의 취지와 기대 효과

  • 농어촌 활력 회복: 인구 감소 및 지역 소멸 위기 완화
  • 지역 경제 순환: 지역상품권 지급으로 지역 상권 활성화
  • 공동체 회복: 현금 지원 외에도 사회서비스·공동체 프로그램 병행
  • 균형 성장 지원: 농식품부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뒷받침” 강조

3. 지방재정 부담 문제

  • 지방자치단체는 사업비의 경우 40%는 국비로 충당하지만 나머지 60%는 지방재정 자체 재원으로 충당해야 함
  • 예: 전남 곡성군(인구 약 2.7만명) → 2년간 군비 291억6천만원 필요
  • 재정자립도가 10% 남짓인 지자체 입장에선 부담이 막대
  • 정부는 “분담비율 조정·보조 확대 가능” 단서를 뒀지만 구체안은 미정
  • 전문가 우려: “안정적 재원 조달 방안이 없다면 단기 실험으로 끝날 수 있다”

4. 신청·참여 방법 요약

단계내용일정
1 농식품부 공모 접수 2025.9.29~10.13
2 시범사업 대상군 발표 2025.10 중순
3 주민 등록·거주 요건 확인 (30일 이상 실제 거주) 대상군 선정 후
4 2026~2027년 매달 지역사랑상품권 지급

5. 블로거·독자용 핵심 포인트

  • 혜택 대상 확인: 농어촌 인구감소 지역 주민인지 체크
  • 지방재정 이슈 주목: 본사업 확대 여부는 재정 해결에 달림
  • 지역 경제 기회: 지역 소상공인·상권 활성화 효과 기대

결론

농어촌 기본소득은 지역 소멸 방지와 균형 성장을 위한 중요한 실험입니다. 그러나 재정자립도가 낮은 군 단위 지자체의 예산 부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지속 가능성은 불투명합니다. 정책 성과와 재정 대안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