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비자 시대, 제주 관광의 기회와 위기

by 부자아빠21C 2025. 9. 29.
반응형

정부가 중국인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한시적 무비자 입국 제도를 시행하면서, 제주 관광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습니다. 이번 제도로 3인 이상 단체는 최대 15일간 한국에 체류할 수 있으며, 제주도는 기존처럼 개별·단체 모두 30일 무비자가 유지돼 여전히 차별적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더 이상 ‘독점’이 아닌 ‘경쟁’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 제주 독점의 종언

그동안 무비자 독점 효과로 외국인 관광객의 제주 집중도가 높았습니다. 실제로 2017년 50.5%까지 떨어졌던 ‘제주만 여행’ 비율은 2024년 84.1%까지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무비자 확대 이후에는 서울·부산을 거쳐 제주로 유입되는 경유형 수요가 늘어나면서 점유율이 흔들릴 가능성이 큽니다.

🏨 숙박·소비·고용 구조 변화

  • 숙박: 대형 리조트와 신규 호텔은 늘었지만, 외국인 단체관광객이 선호하는 중저가 숙소는 부족 → 구조적 불균형 심화
  • 소비: 면세점·대형 쇼핑 위주에서 K-푸드, 웰니스, 공연·체험 중심으로 다변화 → 하지만 지역 전통시장 소외 우려
  • 고용: 단기 일자리 수요 확대 → 비정규직 중심 구조 고착 가능성 vs 장기적으로 외국어 가능 청년층 기회 확대

✈️ 내년 봄, 그리고 정치 변수

올해 국경절 특수는 놓쳤지만, 빠르면 연말·내년 봄 성수기부터 변화가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중국 내 항공권 검색량이 발표 직후 두 배 이상 늘어났으며, 젊은층 관광객이 무비자의 주요 수혜층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APEC 정상회의, 시진핑 주석 방한 여부는 한국 관광 수요를 좌우할 핵심 변수로 꼽힙니다.

🌐 제주 관광의 해법: 독점에서 경쟁으로

제주가 더 이상 무비자 독점을 누리지 못하는 현실은 위기이자 기회입니다.

  • 숙박·결제 인프라 강화
  • 쇼핑 위주의 단체관광 탈피 → 미식·웰니스·전통문화 체험으로 확대
  • 질적 성장 중심의 관광 전환

전문가들은 “무비자 제도의 성적표는 내년 봄 드러날 것”이라며, 제주가 독점에서 경쟁으로,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할 수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 시험대라고 강조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