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운동 안 하면 기억도 사라진다? 33만명 추적한 치매의 비밀

by 부자아빠21C 2025. 10. 30.
반응형

“운동 부족, 우울증, 저체중, 당뇨병이 있으면 기억이 더 빨리 사라진다.”
국내 연구진이 33만 명을 12년간 추적해 이런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특히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은 치매 위험이 1.2배, 우울증 환자는 1.7배, 저체중자는 1.3배 높다는 결과가 나왔죠.


🧠 치매로 가는 길, 생활습관이 결정한다

연구는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진행했습니다.
2009년~2015년 사이 경도인지장애(MCI) 진단을 받은 40세 이상 33만 명을 2020년까지 추적했습니다.

📌 경도인지장애란?
기억력과 판단력이 또래보다 떨어지지만, 일상생활은 가능한 ‘초기 치매 전 단계’ 상태를 말합니다.


📊 주요 연구 결과 요약

위험 요인 알츠하이머 전환 위험 증가율

저체중 1.3배 ↑
우울증 1.7배 ↑
운동 부족 1.2배 ↑
당뇨병 1.37배 ↑
고혈압·이상지질혈증 영향 없음
  • 70세 이후부터 치매 전환 속도 급상승
  • 100세 전후에는 증가세 완만
  • **가벼운 음주(주 1~2회)**를 하는 사람은 오히려 치매 위험이 낮음
  • 도시 거주자·고소득층의 전환 위험도 더 낮음

💬 전문가 한마디

강성훈 교수(고려대 구로병원)는

“경도인지장애 단계에서 우울증을 관리하고
규칙적으로 운동하며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진행을 늦추는 핵심”이라고 강조했습니다.


🏃‍♀️ 기억을 지키는 3가지 습관

  1. 매일 30분 이상 걷기 – 뇌 혈류를 개선하고 인지 기능 유지
  2. 사회적 교류 유지하기 – 고립되면 우울증·인지 저하 위험 증가
  3. 체중 관리 및 균형 잡힌 식단 – 극단적인 다이어트보다 안정적 체중이 중요

📚 연구 출처

  •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연구팀
  •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 (2025년 10월 10일자 게재)

🔎 결론

운동은 단순히 몸매를 위한 게 아닙니다.
**‘기억력을 지키는 가장 강력한 백신’**이죠.
오늘 30분, 뇌를 위해 걸어보세요. 미래의 나에게 가장 큰 선물이 될 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