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확정! 연천·정선·신안 등 7개 군, 주민당 월 15만~20만원 받는다

by 부자아빠21C 2025. 10. 20.
반응형

농림축산식품부가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대상지역 7곳을 확정했습니다. 2026년부터 주민들에게 월 15만~20만원씩 지역화폐로 지급됩니다. 지역별 차등 지급액과 추진 배경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농어촌 기본소득, 7개 군 선정 확정

정부가 추진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대상지역이 확정됐습니다.
선정된 지역은
👉 경기 연천 / 강원 정선 / 충남 청양 / 전북 순창 / 전남 신안 / 경북 영양 / 경남 남해
7개 군입니다.

이 사업은 농어촌 지역 주민에게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제공하고, 지역 공동체의 활력을 되살리기 위한 핵심 정책으로 꼽힙니다.
시범기간은 2026년부터 2027년까지 2년간입니다.


💰 지급 대상과 금액

  • 대상: 해당 지역에 30일 이상 거주 중인 주민 (나이 제한 없음)
  • 지급액:
    • 신안·영양군 → 월 20만원
    • 연천·정선·청양·순창·남해군 → 월 15만원
  • 형태: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으로 지급
  • 가구 단위 지급 아님가구원 수대로 각각 지급

🏛️ 사업 재원 구조

  • 국비 40% (최대 월 6만원)
  • 지방비 60%
    → 지방 재정 여건에 따라 조정 가능

이번 시범사업은 ‘일반형’과 ‘지역재원 창출형’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 특색 있는 지역별 모델

  • 정선군: 강원랜드 배당금을 기본소득 재원으로 활용
  • 신안군: ‘햇빛·바람연금’ 등 신재생에너지 이익을 주민과 공유
  • 영양군: 풍력발전기금(연 6억 원 규모)과 양수발전소 건립으로 지속 가능한 재원 마련

이처럼 각 지자체는 **지역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기본소득 모델’**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 농식품부의 계획과 기대 효과

농림축산식품부는
각 지역에 전담 추진 지원단을 구성해 사업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또한 시범기간 동안

  • 주민 삶의 질 변화
  • 지역경제 활성화
  • 공동체 회복
  • 인구 구조 변화
    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향후 본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할 방침입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농어촌 기본소득이 지역 활력 회복의 마중물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정책 확대 논의도 활발

같은 날, 더불어민주당 전남 지역 국회의원 10인은
“지방소멸 위험이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가 농어촌 기본소득 지원 지역과 예산 비율을 확대해야 한다”며 정부 재정 분담률 50% 이상 상향을 촉구했습니다.

정부는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예산 증액이 이뤄질 경우, 사업 확대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 요약 정리

항목내용
사업명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기간 2026~2027년 (2년간)
대상 연천·정선·청양·순창·신안·영양·남해
지급 금액 월 15만~20만원
지급 방식 지역사랑상품권
조건 해당 지역 30일 이상 거주
재원 국비 40%, 지방비 60%
특징 일부 지역은 신재생에너지·배당금 등 자산 활용형 모델

💬 마무리

‘농어촌 기본소득’은 단순한 현금 지원이 아닙니다.
지역의 자산을 지역민과 함께 나누는 새로운 지방경제 모델로서 의미가 큽니다.
이번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앞으로 더 많은 지역으로 확산돼 국가 균형발전의 초석이 될 전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