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말이 다가오면서 **‘비과세 막차’**를 잡으려는 투자자들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시중은행 예금 금리가 2%대 초중반에 머무는 가운데, 상호금융 예탁금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가 비과세 혜택 마지막 해로 알려지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죠.

✅ 상호금융 예탁금, 금리도 ‘쏠쏠’
현재 새마을금고·신협 등 상호금융권 예탁금 금리는 평균 3.0~3.1% 수준으로,
1금융권(시중은행)보다 0.5~1%포인트가량 높습니다.
예를 들어
- 태인새마을금고 : 연 3.1%
- 광주어룡신협 : 연 3.1%
- 면곡신협 : 연 3.0%대 상품 판매 중
반면,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은 평균 2.7%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금리 경쟁력만 놓고 보면, 상호금융 예탁금이 한층 매력적인 선택이죠.
🧾 ‘비과세 혜택’, 올해가 마지막?
상호금융 예탁금의 가장 큰 매력은 바로 비과세 혜택입니다.
조합원이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3,000만 원까지 이자소득세(14%)가 면제됩니다.
즉, 농어촌특별세 1.4%만 부담하면 되는 셈이죠.
하지만 ⚠️ 2026년부터는 세제 혜택이 축소됩니다.
정부의 세제개편안에 따라 내년부터는 고소득자에게 세금이 부과되며,
2027년에는 세율이 최대 9%까지 확대될 예정입니다.
| 2025년 | 비과세 (농특세 1.4%만 부담) | |
| 2026년 | 고소득자 5% 적용 | |
| 2027년 | 고소득자 9% 적용 |
따라서 2025년 연말까지 가입하는 것이 유리한 마지막 시점입니다.

🏦 조합 출자금도 ‘쏠쏠한 예테크’
상호금융 예탁금 외에도 조합 출자금 투자도 주목할 만합니다.
조합원 출자금 배당소득은 연 2,000만 원까지 비과세 대상이기 때문이죠.
매년 2~3월 지급되는 배당금은 예금이자 이상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
고금리 시대에 또 다른 **‘안정형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비과세 막차’로 몰리는 뭉칫돈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5대 상호금융의 수신 잔액은 930조7,41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5조7,000억 원 증가했습니다.
업계에서는 올해 연간 증가액이 31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즉, 비과세 종료 전 자금이 몰리고 있다는 것이죠.
💡 연말 재테크 꿀팁 정리
✅ 비과세 예탁금 한도 3,000만 원까지 활용
✅ 올해 가입 시 세금 혜택 100% 누리기
✅ 조합 출자금 배당 비과세 2,000만 원까지
✅ 고금리(3%대) + 안정성 확보
✅ 저소득층·은퇴자에게 특히 유리
🗓️ 지금이 마지막 기회!
‘비과세 막차’는 올해까지만 운행합니다.
단순 예금이 아니라 세금 절약과 고금리를 동시에 잡는 똑똑한 예테크,
지금이 바로 실천할 타이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