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0월부터 사망보험금을 쪼개 연금처럼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시행됩니다. 55세 이상 종신보험 가입자의 조건·절차·장단점을 자세히 확인하세요.
최근 경기 침체와 고용 불안으로 노후 준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사망보험금 연금 전환(유동화) 제도는 퇴직 이후 소득 공백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사망보험금 연금 전환이란?
- 기존 방식: 가입자 사망 시 유족에게 일시금 지급
- 변경 후: 가입자가 살아 있을 때 사망보험금을 쪼개 55세부터 연금처럼 수령 가능
- 국민연금 개시 전(65세 전) 생활비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
✅ 신청 조건과 대상
- 가입 조건
- 보험료 완납한 만 55세 이상 종신보험 가입자
- 사망보험금 9억 원 이하, 금리확정형 상품만 가능 (변액·금리연동형 제외)
-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동일인이어야 신청 가능
- 신청 절차
- 초기에는 대면 창구에서만 신청
- 연금 수령 방식:
- 연지급형: 12개월 치를 일시 지급 (2025년 10월부터)
- 월지급형: 매월 지급 (2026년 초 예정)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예) 사망보험금 1억 원 → 최대 **90% (9000만 원)**까지 연금화 가능
- 55세부터 20년간 수령 시: 연간 약 164만 원 (월 평균 14만 원 수준)
- 연금 개시를 늦출수록 총 수령액 증가 (65세 월 18만 원, 75세 월 22만 원)
📊 장단점 비교
구분장점단점
연금 전환 | - 노후 생활비 확보 - 국민연금 개시 전 소득 공백 완화 - 중도 해지·수령 전환 가능 |
- 총 지급액 감소 - 고액 전환 시 과세 가능성 |
기존 사망보험금 | - 유족에게 더 많은 일시금 전달 | - 가입자 생전 노후 생활비 해결 어려움 |
⚠️ 유의사항
- 고액 연금전환 시 소득세(3.3~5.5%) 및 이자소득세 부과 가능
- 기존 종신보험의 연금전환특약 여부 확인 (특약 있으면 비과세)
- 전환 후 철회 가능: 연금 수령일 15일 이내 또는 신청일 30일 이내
🔎 왜 주목받을까?
국민연금연구원에 따르면 2050년 한국 노인 빈곤율은 **42%**까지 치솟을 전망입니다. 전문가들은 국민연금·퇴직연금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사망보험금 유동화 같은 개인적 대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
📝 결론
10월부터 시작되는 사망보험금 연금 전환 제도는 은퇴 이후 소득 공백을 완화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입니다. 다만, 총 수령액 감소와 과세 이슈를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자신의 보험 납부 상태와 생활비 계획을 점검한 뒤,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상담해 최적의 선택을 하세요.
반응형